[깃 Git] git의 영역 정리(working directory, staging area, repository) / git의 상태 정리(untraked, tracked, staged, unmodified, modified)
안녕하세요. 디자인도 하고, 개발도 하는 '디발자 뚝딱'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working directory, staging area, repository의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개발자라면 이 3가지 영역을 잘 이해해야 Git을 다루기가 쉽다고 해셔 제가 낱낱이 파헤쳐봤는데요. 그 내용을 공유해드릴게요. 지금부터는 가독성을 위해 문어체를 사용하겠습니다! Git의 3가지 영역 정리 working directory working tree라고 말하기도 함 현재 작업하고 있는 영역. 즉, 작업을 하고 있는 프로젝트 디렉토리 아직 추적(track)하고 있지 않은 상태 staging area index라고 하기도 함 $git add 명령어로 전달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 commit을 하게 되면 stagi.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